All Issue

2021 Vol.55, Issue 3 Preview Page

Research Article

30 September 2021. pp. 365-378
Abstract
References
1
강상중 저, 이경덕 외 역, 1997,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, 서울: 이산.
2
국사편찬위원회, 2008, 여행과 관광으로 본 근대, 서울: 두산동아.
3
권행가, 2001, “일제 강점기 우편엽서에 나타난 기생 이미지,” 미술사논단 12: 83-103.
4
권혁희, 2003, “일제 강점기 사진엽서에 나타난 재현의 정치학,” 한국문화인류학 36(1): 187-217.
5
권희주, 2013, “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수학여행-그 혼종의 공간과 교차되는 식민지의 시선,” 한일군사문화연구, 15: 279-300.
6
김백영, 2014, “철도제국주의와 관광식민주의,” 사회와 역사 102: 195-230. 10.1109/JPROC.2014.2301471
7
김백영・조정우, 2014, “제국 일본의 선만 공식 관광루트와 관광안내서,” 일본역사연구 39: 27-64.
8
김선정, 2017, “관광 안내도로 본 근대 도시 경성,” 한국문화연구 33: 33-62. 10.1002/rwm3.20470
9
김선희, 2018, “사진그림엽서를 통해 본 근대 서울의 관광 이미지와 표상,” 대한지리학회지 53(4): 569-583.
10
김승, 2011, “일제강점기 해항도시 부산의 온천개발과 지역사회의 동향,” 지방사와 지방문화 14(1): 203-256.
11
김창수, 2009, “식민지기 인천의 사진엽서와 시선들,” 도시연구: 역사・사회・문화 2: 7-29. 10.22345/kjuh.2009.12.2.7
12
닝왕 지음, 이진형・최석호 옮김, 2004, 관광과 근대성, 서울: 일신사.
13
문순희, 2012, “19세 말 일본인의 조선여행 관련 기록물 연구,” 동북아문화연구 31: 213-229. 10.17949/jneac.1.31.201206.011
14
박찬승, 2015, “식민지시기 다중적 표상으로서의 평양기생,” 동아시아문화연구 62: 13-51. 10.1007/s35128-015-0661-2
15
부산박물관, 2009, 사진엽서로 보는 근대풍경, 서울: 민속원.
16
서기재, 2002, “일본근대 「여행안내서」를 통해서 본 조선과 조선관광,” 일본어문학 13: 423-440.
17
서기재, 2016, “일제강점기 미디어를 통해 본 여행지로서 ‘평양’과 ‘평양인’,” 통일인문학 66: 235-261.
18
오윤빈, 2014, 근대기에 형성된 한국이미지: 사진엽서를 중심으로,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.
19
우라카와가즈야(浦川和也), 2017, 絵葉書で見る近代朝鮮, 서울: 민속원.
20
원종혜, 2016, “일제 강점기 觀光地圖에 조명된 경성 관광의 이미지,” 역사와 경계 100: 137-169. 10.37967/emh.2017.09.137.169
21
윤소영, 2007, “러일전쟁 전후 일본인의 조선여행기록물에 보이는 조선인식,”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1: 49-93.
22
장원석・정치영, 2020, “일제의 사진첩에 투영된 식민지 조선의 이미지,” 한국사진지리학회지 30(2): 42-67.
23
전수연, 2010, “근대관광을 통해 드러난 일본의 제국주의,” 미술사학보, 35: 311-342. 10.15819/rah.2010..35.311
24
정재정, 2010, “植民都市와 帝國日本의 視線-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生徒의 朝鮮・滿洲 修學旅行(1939)-,” 일본연구 45: 69-93.
25
정치영, 2018, “여행안내서 「旅程と費用槪算」으로 본 식민지조선의 관광공간,” 대한지리학회지 53(5): 731-744.
26
정치영・米家泰作, 2017, “1925·1932년 일본 지리 및 역사교원들의 한국 여행과 한국에 대한 인식,” 문화역사지리 29(1): 1-20.
27
조성운, 2008, “1910년대 식민지 조선의 근대 관광의 탄생,”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6: 103-146.
28
조성운, 2009, “일제하 조선총독부의 관광정책,” 동아시아 문화연구, 46: 7-45.
29
조성운, 2010, “일본여행협회의 활동을 통해 본 1910년대 조선관광,”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5: 5-31.
30
조윤정, 2014, “근대 조선의 수학여행과 기행문 쓰기의 방법,” 東方學志, 168: 185-213. 10.17788/dbhc.2014..168.007
31
조정민, 2018, “일제침략기 사진그림엽서로 본 부산 관광의 표상과 로컬리티,” 일본문화연구 67: 35-58. 10.18075/jcs..67.201807.35
32
최인택, 2017, “일제침략기 사진·그림엽서를 통해서 본 조선의 풍속 기억,” 동북아문화연구 51: 131-149.
33
한국학중앙연구원, 1991,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.
34
金贊汀, 1988, 關釜連絡船 海峽を渡った朝鮮人, 朝日選書.
35
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, 1939, 滿鮮修學旅行報告書.
36
南滿洲鐵道株式會社, 1916, 鮮滿觀光旅程..
37
蘇斗永, 1991, 韓末・日帝初期(1904~1909) 道路建設에 대한 一硏究,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.
38
米家泰作, 2014, 近代日本における植民地旅行記の基礎的硏究-鮮滿旅行記にみるツーリズム空間, 京都大學文學部硏究紀要, 53: 319-364.
39
神戶高等商業學校, 1906, 韓國旅行報告書, 한국지리풍속지총서, 236, 파주: 경인문화사.
40
有山輝雄, 2002. 海外觀光旅行の誕生, 吉川弘文館.
41
李良姬, 2007, 植民地朝鮮における朝鮮總督府の觀光政策, 東北アジア硏究, 13: 149-167.
42
日本交通公社, 1982, 日本交通公社70年史.
43
朝鮮總督府, 1938년 7월, 8월, 朝鮮及滿洲.
44
朝鮮總督府鐵道國, 1934, 朝鮮旅行案內記.
45
荒山正彦, 2012, 旅程と費用槪算(1920~1940年)にみるツーリズム空間-樺太・台湾・朝鮮・滿洲への旅程-, 關西學院大学先端社会硏究所紀要, 8: 1-17.
46
Cohen, E., 1974, Who is a tourist?: A conceptual clarification. Sociological Review 22: 527-555. 10.1111/j.1467-954X.1974.tb00507.x
47
IUOTO, 1963, The United Nation’s Conference on International Travel and Tourism, Geneva: International Union of Official Travel Organizations.
48
Todorov, T., 1993, On Human Diversity: Nationalism, Racism, and Exoticism in French Thought, trans. by Catherine P., Cambridge: Harvard University Press.
49
Turner, L. and Ash, J., 1975, The Golden Hordes: International Tourism and the Pleasure Periphery, London: Constable.
50
부산광역시 홈페이지, http://www.busan.go.kr
Information
  • Publisher :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
  • Publisher(Ko) :국토지리학회
  • Journal Title :국토지리학회지
  • Journal Title(Ko) :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
  • Volume : 55
  • No :3
  • Pages :365-378
  • Received Date : 2021-09-07
  • Revised Date : 2021-09-28
  • Accepted Date : 2021-09-28